in ,

트랜스로터 ZET-3MKII에 HIP 적용

transrotor zet3mkii thumb

올 한 해는 여러 모로 나의 시스템 변경이 꽤 많았다. 우선 정들었던 베리티와 이별하고 락포트 Atria를 들였다. 광활한 음장에 차갑지 않으면서 고해상도의 베릴륨 트위터 맛에 취하게 되었고 NAS에 저장된 음원의 가치를 다시 한 번 깨달았다. 더불어 연말에 리바이벌 오디오의 Atalante 3를 추가로 들이면서 서브시스템의 변화도 추가했다.

아마도 바뀌지 않은 건 턴테이블뿐인 것 같다. 벌써 6년째 변함없이 듣고 있는데 중간에 업그레이드가 몇 번 있었다. 톤암을 하나 더 추가해 더블 암 체제로 자리 잡은 것. 그리고 다이나벡터 외에 골드링 카트리지를 추가해 MC 말고 MM의 맛을 오랜만에 즐기고 있다. 아날로그 쪽 인터 케이블은 카다스 외에 반덴헐을 추가해 맛을 더 살렸고. 메인 포노앰프는 여전히 서덜랜드 PHD지만 서브로 골드노트와 해거만 포노를 추가했다.

아마도 올해 아날로그 쪽에서 가장 큰 업그레이드는 AOA의 진동 관련 액세서리 추가일 것이다. 일단 트랜스로터의 발은 AOA의 일명 개똥이로 교체하면서 업그레이드를 경험했다. 그리고 화룡점정은 모터 베이스 교체. AOA의 D120과 함께 HAM을 추가해 높이 조절도 좀 더 정교하게 가능해졌다. 플래터의 벨트 홈과 모터 풀리의 홈이 이루는 완벽한 평형. 더불어 모터의 아주 작은 진동마저도 격리되면서 엘피 소리는 더욱 정교하고 적막해졌다.

그런데 또 하나 변화가 있었다. 이전에 레가에 적용했던 HIP 플랫폼의 적용이다. 개인적으로 서브로 사용 중인 레가 RP10은 대충 놓고 들어도 수준 이상의 소리를 들려준다. 하나 더, 하나 더 업그레이드하면 또 조금씩 좋아지긴 한다. 그런데 그렇게 튜닝을 하면 이게 과연 레가의 소리일까? 하는 생각이 든다. 예전에 만나보기도 한 레가의 대표 로이 간디가 원한 건 이런 튜닝된 소리가 아닌 것 같다. 그래서 HIP를 트랜스로터 쪽으로 옮겨 턴테이블을 HIP 위에 올렸다.

내 예상을 맞았다. HIP는 트랜스로터가 추구하는 소리의 방향에 더 부합한다. HIP가 조금 작은 버전이라서 아주 타이트하게 맞는데 어쨌든 카본을 몇 개 받쳐서 수평을 맞추니 더 이상 뭐가 더 필요할까 싶은 생각이 든다. 더 업그레이드하려면 톤암과 카트리지가 보이는데 일단 올해는 여기서 스톱! 2022년 아날로그 시스템 업그레이드는 여러 모로 성공적이다.

Written by 코난

코난 이장호는 하이파이 오디오를 평가하는 평론가다. 고음질 명반 가이드북 1,2,3 등의 책을 썼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creek 4040 a front

CAS4040의 환생

martha thumb2

마르타 아르헤리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