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 ,

케이블 도락에 마침표를 찍다

크리스탈 케이블 Da Vinci

Artseries HR thumb

마침표 혹은 쉼표

케이블에 대해서 경험했던 일들, 그리고 무척 재미있었던 도락의 기억들은 정말 많다. 그리고 지금도 현재 진행형이다. 어떤 특정 곡에서 특정 악기의 소리가 마음에 안 들어 고민하다가 점퍼 케이블 하나 또는 인터케이블 하나로 마음의 평정을 얻었을 때가 대표적이다. 어떤 때엔 전혀 예상치 못하게 디지털 케이블의 변화 하나로 완성 못했던 소리에 마침표를 찍었던 경우도 있었다. 마침표라고 해놓고는 사실 형벌이라도 받은 시시포스처럼 또 고민에 빠지곤 하니 쉼표라고 하는 게 옳을지도 모르겠다.

특히 아날로그 장비 관련해선 무척 흥미로운 일들이 있었다. 과거 미국의 VPI 턴테이블을 사용할 때였다. 유니 피못 톤암에 톤암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형태였고, 톤암 케이블이 톤암에서 나온 이후 조그만 블랙박스 안으로 들어가게 되어 있었다. 당시 일반 버전 외에 톤암 케이블을 노도스트로 처리한 버전도 있었다. VPI 턴테이블만 여러 조 사용해 봤는데, 이 톤암 케이블 하나로 무척 고급스럽고 섬세한 사운드를 경험하면서 놀랐던 기억이 있다.

sme synergy
SME사 Synergy 턴테이블

또 하나 흥미로운 기억은 SME 턴테이블이었다. 몇 년 전에 출시된 턴테이블이었는데, 이전 SME와 달리 카트리지 및 포노앰프가 모두 포함되어 있었다. 카트리지는 덴마크 오토폰이었고, 포노앰프는 무려 스위스 나그라의 도움을 받았다. 또 하나 빛나는 옵션은 바로 포노 케이블이었는데, 역시 네덜란드 거점의 브랜드 크리스탈 케이블을 적용하고 있었다. 턴테이블 이름처럼 영국과 네덜란드, 그리고 스위스 등 다양한 국가가 참여한 프로젝트로서 시너지를 듬뿍 내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그리고 분명 SME 턴테이블의 소리엔 이전에 SME에서 듣기 힘들었던 소리를 내포하고 있었다.

오디오 브랜드가 직접 만든 케이블

알고 보면 이런 케이블들은 한낱 연결 도구 정도로 인식할 수 있지만, 소리의 전송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노이즈 침범을 막아주며 전자기장으로부터 자유를 준다. 아무리 뛰어난 출력 신호를 내주더라도 케이블로 인한 신호 경로에서 손실, 왜곡이 더해지면 무주공산이 될 수밖에 없다. 무선이라고 해도 이런 노이즈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기는 마찬가지다. 이런 신호 경로에 있어 방대한 연구와 제조 설비를 제대로 갖춘 베테랑 하이엔드 브랜드는 그리 많지 않다. 그중 실텍, 크리스탈 케이블이라면 믿을 만하다.

Minissimo Scala image
크리스탈 케이블 Minissimo Scala

오디오 브랜드들은 하이엔드 케이블에 대해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실제 실텍이나 크리스탈 케이블은 오랜 시간 동안 오디오를 만들어오고 있는 장본인이기도 하다. 실텍의 스핑크스(Sphinx) 앰프를 들어본 적이 있는가? 지금은 사가(Saga) 앰프 라인업을 만들어내고 있는데, 과거 스핑크스 앰프의 소리도 상당히 좋게 들었던 기억이 있다. 한편 크리스탈 케이블의 경우 스피커로 유명하다. 미니시모(Minissimo) 라인업은 오랜 시간 동안 그들이 갈고닦아온 사운드에 대한 기준이 깊게 각인되어 있다.

crystal davinci spk 5

다빈치에 새긴 케이블 엔지니어링

이번엔 그 크리스탈 케이블이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이름을 빌어 케이블을 만들었다. ‘오디오 브랜드가 감히 인류가 탄생한 이후 가장 위대한 예술가이자 과학자 다빈치의 이름을 사용하다니 얼마나 대단한 자신감일까?’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예술과 과학의 만남을 통한 이른바 ‘감성공학’ 하이엔드 오디오로서의 정체성을 따져본다면 이처럼 유효적절한 이름도 없을 것 같다. 다빈치를 단지 ‘모나리자’, ‘최후의 만찬’ 등을 그린 르네상스 시기 화가라고 알고 있다면 오산이다. 그는 수학, 의학, 건축, 회화, 철학, 조각 등 다방면의 천재였다. 그의 인물화도 알고 보면 철저히 해부학 연구를 통한 결과물이니까 말이다.

최후의 만찬 레오나르도 다빈치
레오나르도 다 빈치 ‘최후의 만찬’

그렇다면 이 위대한 천재의 이름을 건 케이블을 해부해 보면 어떤 모습이 눈앞에 펼쳐질까? 우선 도체를 살펴보면 크리스탈 케이블이 최상위 버전으로 제작한 순은 케이블을 사용하고 있다. 하위 모델에선 실버/골드 케이블을 사용했지만 최상위로 가면 순은을 사용하는데, 그것도 입자 사이 경계면이 거의 보이지 않는 iCS 도체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산소를 포함한 유산소 동선 OFC를 사용하다가 그 상위 모델로 언급되는 것인 OCC다. 이를 ‘단결정’이라고 표현하는데, 이는 어찌 보면 좀 잘못된 표현이다. ‘단방향 결정’이 더 어울리는 표현으로, 입자를 규칙적으로 배열해 경계면으로 인한 신호의 왜곡을 최소화한 도체다.

crystal davinci inter 1

여기서 더 신호 왜곡을 줄인 것이 모노 혹은 싱글 크리스탈 도체로서, 입자들의 경계면이 거의 없어 신호 왜곡이 가장 적다. 크리스탈 케이블 다빈치 케이블은 바로 이런 구조의 도체를 사용하면서 그 소재로 순은을 사용해 순도를 최상급으로 끌어올렸다. iCS가 ‘Infinite Crystal Silver’의 줄임말임이 이해되는 대목이다. 한편 이 케이블을 사용해 모든 다빈치 라인업을 완성하는데, 절연 소재로는 테플론과 캡톤을 사용한다. 절연율을 높이기 위해선 기본적으로 유전율이 낮은 물질을 사용해야 한다. 쉽게 말해 전기나 열을 전달하는 성질이 낮은 부도체들이다. 최고의 절연체로 공기 다음으로 가장 대표적인 것인 테플론이며, 여기에 더해 캡톤까지 사용해 절연율을 드라마틱 하게 상승시켰다.

제작 과정 3

한편 차폐엔 도체로 사용하는 iCS를 다시 한번 더 사용했다. 사실 이런 차폐 소재는 정말이지 호화로움을 넘어 사치라고 해도 좋을 듯하다. 더불어 피복은 투명 테플론을 사용해 겉으로 보면 내부가 어느 정도 비추면서 무척 아름다운 모습이다. 또한 이 케이블들은 일정한 각도로 꼬여 있다. 이 또한 그들만의 연구 결과를 적용한 것으로 꼬임 각도를 일정하게 정한 후 그들이 만든 장비를 사용해 일정한 각도로 꺾어 제작하고 있다. 상당히 세심한 제작 기법이 돋보인다.

crystal davinci inter 2

각 케이블은 다른 심선 조합을 보인다. 예를 들어 XLR은 동축 두 조에 그라운드 네 조를 조합해 만들어낸다. 한편 RCA 케이블의 경우 당연하겠지만 동축 한 조에 그라운드 케이블은 총 다섯 조를 조합해 사용한다. 둘 여섯 조의 케이블 다발을 사용하면서 케이블 종류에 따라 그 분배를 달리한 모습이며 특히 그라운드 케이블에 상당한 양의 심선을 사용한 것에서 접지 노이즈에 편집증적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스피커 케이블의 경우 총 여섯 조의 동축 케이블을 사용한 모습. 모두 엄청난 양의 ICS를 투입하면서 소재 및 구조에 대해 고민한 흔적이 역력하다.

DVS3.1 2048x1532 1


​청음

케이블 테스트는 상당히 섬세한 시스템 조건과 심도 있는 테스트가 요구된다. 일단 변수를 통제하고 오직 케이블만 교체한 후, 이전에 사용했던 케이블과 ABA 테스트를 반복해야 한다. 개인적으로 나의 시스템에서 케이블로 튜닝을 할 때도 그렇고 리뷰를 진행할 때도 그렇다. 이번엔 SOtM 네트워크 플레이어에 바쿤 DAC9740 DAC를 사용했으며, 패스랩스 XP12, 일렉트로콤파니에 AW250R 파워, 그리고 PMC fact12 sig.를 고정해 사용했다. 그리고 오직 크리스탈 케이블 중 다빈치 XLR 및 스피커 케이블을 적용해 전/후 퍼포먼스를 비교해 보았다.

nah

우선 이 케이블은 순도가 매우 높고 투명하다. 마치 이전 케이블은 그늘이 드리워져 있었던 것이 아닌가 싶을 정도이며, 크리스탈 케이블은 신호 흐름에 있어 왜곡, 손실이 거의 없다는 느낌이다. 나윤선의 ‘My favorite things’를 들어보면, 먼저 칼림바 소리가 공간 안에서 맑게 튀어나온다. 마치 검은 호수에 돌을 던진 듯 잔잔한 파장이 선명하다. 나윤선의 보컬은 그 음상이 너무 또렷해 마치 눈앞에서 보이는 듯하다. 보컬 재생 시 조금만 더 지나치면 치찰음이 생길 것처럼 섬세하지만, 다행히 그런 현상은 포착할 수 없었다.

lara

크리스탈 케이블의 자매 브랜드 실텍은 많은 사용자들을 거느리고 있으며, 당연히 그 실텍의 자매 브랜드라고 하면 현악 재생에 강점이 있을 것이라 생각할 수도 있다. 물론 현악도 뛰어나다. 그러나 크리스탈 케이블은 그 이름처럼 피아노 등 여타 악기 재생에도 탁월한 성능을 보이며, 장르를 굳이 많이 타지 않는 특성을 지녔다. Alice Sara Ott가 연주한 쇼팽 ‘12 Etude’를 들어보면 말 그대로 ‘Crystal Clear’라는 표현에 정확히 들어맞는 소리를 체험할 수 있다. 맑고 단단하며 매우 낮은 레벨의 소리 입자도 모두 표현해낸다.

gil

그렇다고 해도 현악 재생음에 대한 표현 양상은 궁금할 수밖에 없다. 물론 크리스탈 케이블은 은선이라는 특성에 철저히 복종한다. 그러나 어중간한 순도와 내부 입자 구조를 갖는 은선과는 그 궤를 달리한다. 단순히 하늘거리면서 감성적으로 호소하는 여린 소리의 순은 케이블을 상상하면 곤란하다. Gil Shaham과 Göran Söllscher가 기타, 바이올린으로 연주하는 슈베르트의 곡을 들어보면 기타와 바이올린의 악곡 중간중간에 에지가 분명하며, 강/약 구분이 명료해 전체적인 뼈대가 세부적으로 명확히 드러난다. 물론 밝은 소릿결이지만. 그렇다고 표백되어 표면 텍스처를 뭉개는 법도 없다.

andris nelsons shostakovich

순은 iCS 도체와 탁월한 절연 및 차폐, 그리고 무엇보다 그라운드에 대한 아낌없는 투자는 모든 악기들의 하모닉스 특성을 낱낱이 분해해 정보량 훼손 없이 날 것 그대로 표출해낸다. 따라서 Shostakovich 교향곡 등 대편성에서도 여러 악기들의 각각의 음색들이 뚜렷하게 표현되어 분리된다. 이러한 특성은 사운드 스테이징 측면으로도 연결되는데, 탁 트인 무대를 비롯해 청취자를 순식간에 오케스트라 공연장의 중심으로 빨아들이는 듯한 흡입력을 만들어낸다. 어떤 구석도 왜소하거나 흐릿한 부분이 없이 호쾌하고 다이내믹하게 표현해 준다.

F3 2 scaled 1

총평

사실 다빈치 케이블은 엄청난 고가를 자랑하므로 이런 케이블을 사용할 사람이라면 이미 상당히 높은 해상력과 광대역의 시스템을 운용 중일 가능성이 크다. 흥미로운 건 같은 Art 시리즈 중 모네와 반 고흐 사이의 성능 차이보다 반 고흐와 다빈치 사이의 성능 차이가 더욱더 컸다. 물론 모네 정도만 해도 나의 시스템에선 무척 높은 만족도를 선사했지만, 다빈치를 들어보면서 상상 이상의 디테일, 마이크로 다이내믹스, 사운드 스테이징에 놀랐다. 다빈치라는 전대미문의 천재를 이 케이블의 이름으로 사용한 데엔 충분한 이유가 있었다. 이 케이블이라면 사실 수십 년간 잊을 만하면 찾아오는 케이블 도락을 멈출 수도 있을 것 같다.​

글 : 오디오 평론가 코난

Written by 코난

코난 이장호는 하이파이 오디오를 평가하는 평론가다. <고음질 명반 가이드북 1,2> 등의 책을 썼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monitoraudio hyphn 5

Hyphn 쇼케이스를 마치고

jungle

1990년대에 바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