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

오디오파일 네트워크 스위치 내부

LUMIN L2 Silver level3 facing left tile

옛날에 누군가 말했다. 오디오는 무게가 많이 나가면 좋은 거라고. 말도 안되는 소리다. 무게가 많이 나가다고 좋은 오디오라면 과거 클래스 A 앰프나 또는 내부에 굉장히 많은 소자로 가득했던 일제 오디오가 항상 모든 어워즈를 휩쓸고 가장 많은 판매를 올렸을지도 모르다. 가장 중요한 건 당연히 무게 따위가 아니라 내부 설계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 다음에 소자의품질이다.

아래 사진은 최근 유행하고 있는 네트워크 스위치 허브들의 내부 모습이다. 직전 포스팅에서 오디오용 스위치 허브의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했다면 과연 내부 설계는 어떻게 했는지 궁금해 찾아보았다. 뛰어난 성능의 네트워크 스위치라면 일단 섀시에서 차폐를 잘 해야 한다. 알루미늄, 구리 등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고 전자파가 끼어 들 틈을 주지 말아야한다. 더불어 이더넷 포트에 절연에 많은 투자와 함께 영리한 설계를 적용해야한다. 갈바닉 절연이 대표적이다.

스위치 보드는 가능하면 음향을 다루는 오디오에 적합하게 직접 설계해 패턴을 짜는 게 좋다. 노이즈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전원부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아무리 스위치 회로를 잘 꾸렸다고 해도 전원부 주변에서 전자파가 상호 간섭하면 힘들게 노이즈 인입을 막은 후 다시 노이즈를 발생시키는 주범이 되어버리고 말기 때문이다. 여기에 더해 내부 클럭도 중요하다. 이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지만 정밀도가 높은 클럭과 함께 주변 회로를 잘 조성해야한다.

음악 감상 트렌드의 변화, 즉 네트워크 스트리밍이 음악 감상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시장을 잠식하면서 오디오 부문에서도 이에 대응하는 액세서리가 우후죽순 등장해왔다. 하지만 새로운 제품군이 오디오파일 제품군 안으로 편입될 땐 조심해야한다. 항상 초반의 유행에 편승해 스펙만 내세워 고가에 판매하려는 마케팅이 끼어들기 때문이다. 실제로 몇 만 원대 부품들에 자사의 그저 그런 설계를 특수한 기술인 양 부풀려 수백, 수천만 원에 판매하는 경우도 엿보인다. 최근엔 루민, 레이키오디오를 좋게 들었고 요즘엔 오렌더가 상당히 궁금하다. 출시되면 한번 꼭 테스트해봐야겠다.

SOtM sNH 10G sCLK EX

SOtM sNH-10G

Melco S100 Switch 03

멜코 S100

S5 internal2D

델라 S5

LUMIN L2 Black inside straight 2

루민 L2

INNUOS PHOENIX NET internal

이누오스 Phoenix NET

Bonn N16 LPS

사일런트 엔젤 Bonn N16

안수즈 D TC Supreme

안수즈 D-TC Supreme

Reiki SuperSwitch

레이키 SuperSwitch

Aurender NH10

오렌더 NH10

웨이버사 WSmartHub 3.0

웨이버사 WsmartHub

Written by 코난

코난 이장호는 하이파이 오디오를 평가하는 평론가다. 고음질 명반 가이드북 1,2,3 등의 책을 썼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dela s5 dataswitch 6

오디오파일을 위한 네트워크 스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