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 ,

MBL 디지털 사운드의 문 앞에서

MBL C41

mbl c41 thumb2

독일 오디오의 왕조

독일은 오디오 왕조를 써내려간 나라 중 하나다. 세계 2차 세계 대전을 치룬 이후 되레 정밀 공학 등을 진화를 이끌어내면서 다양한 브랜드를 런칭했다. 엘락 같은 경우가 대표적이며 이 외에도 수많은 브랜드가 운집해 있다. 예를 들어 의료기기를 만들다가 오디오 부문으로 진출한 오디오넷이 떠오르면 누가 뭐래해도 독일 오디오의 상징 같은 존재 버메스터가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옥타브 같은 진공관 오디오 메이커는 탁월한 트랜스로 여타 메이커와 비교를 거부하는 성능과 퍼포먼스를 보여준다.

아날로그 기술에서 독일은 천하무적이다. 클리어오디오, 트랜스로터 등 정밀 공학의 진수를 보여주는 턴테이블 메이커가 즐비한 것에서 독일 기술력의 면모는 확실히 드러난다. 대중적으로 친순한 브랜드가 성공할 수 있었던 데엔 오랫동안 한우물만 판 저력의 회사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노이만, 숍스 같은 곳에서 만든 마이크는 시대를 막론하고 항상 최고급으로 인정받았다. 여기에 더해 젠하이저, 베이어다이내믹 같은 이어폰, 헤드폰 브랜드까지 합세하면 독일에서 전 세계 딜러와 마니아들이 몰리는 하이엔드 오디오 박람회가 열리는 것이 당연하게 느껴진다.

mbl c41 18

MBL 스피커와 주변 기기

독일 하이엔드 오디오 메이커를 들자면 MBL을 빼놓을 수 없다. 기본적으로 스피커 메이커는 오디오 시스템의 핵심으로서 여타 일렉트로닉스 콤포넌트와 확실히 차별될 수밖에 없다. 결국 모든 소리의 출구는 스피커이기 때문이다. 정축, 비축 응답 특성과 지향 특성 그리고 유닛의 완성도와 그 음색 성향, 포커싱 능력 외에 사운드 스테이징 등 모든 것이 결국은 스피커로 표현되므로 스피커는 하이엔드 오디오의 꽃이다. 여타 음향 부문 사이에서 하이엔드 오디오를 굳건히 떠받쳐주는 바로미터다.

MBL이 특별한 이유는 스피커, 그 중에서도 무지향 스피커를 만들어내는 독보적인 브랜드이기 때문이다. 전 세계에서 오랜 시간 동안 무지향 스피커를 통한 음향의 실체적 표현에 도전해왔지만 결국 남은 건 MBL이었다. 수많은 난관 속에서 유르겐 라이스 같은 천재적 엔지니어는 이를 완성했고 진보시켜 왔다. 얼마나 많은 R&D와 피나는 노력이 있었는지 상상이 안 되는데 그 중 이들의 발목을 잡았던 것 중 하나는 주변 기기 매칭이었다.

mbl power

특별한 캐릭터는 그에 상응하는 특별한 습관을 갖는 법. MBL의 꽃봉오리처럼 생긴 라멜레 유닛을 보면 사방으로 소리의 향기를 풍겨내면서 작동하는 모습이 너무나 신기하면서 동시에 아름답다. 그런데 드라이빙이 쉽지 않았고 MBL은 자체적으로 앰프를 만들어내기 시작했다. 물론 현대 하이엔드 오디오 메이커들이 만들어내는 앰프는 곧잘 MBL을 잘 요리해내기도 하지만 초창기엔 쉽지 않았다. 그리고 그 때도 지금도 MBL 무지향 스피커를 가장 잘 제어해내는 가장 안정적인 매칭은 MBL 자체 앰프임을 부인하긴 힘들다. 스피커라는 꽃을 피우기 위해 MBL은 철저한 자기 검열과 분석을 해야 했으리라.

mbl c41 19

MBL 그리고 카덴자

그리고 이젠 소스 기기다. MBL 스피커를 완벽히 제어할 수 있는 앰프에 대한 소구에 대해 그들이 오른 마지막 봉우리는 현재 9008A 같은 모노블럭 앰프다. 여기에 더해 프리앰프는 6010D라는 난공불락의 경지에 도달해있다. 레퍼런스 라인업뿐만 아니다. MBL은 노블, 코로나와 같은 라인업으로 자신들의 DNA를 전이시키면서 발전해왔다. MBL 101E 같은 항공모함급 스피커를 위해 항모전단을 꾸리기도 하지만 때론 노블, 코로나처럼 좀 더 미니멀 디자인으로 최대한 단출하게 요약해 MBL 사운드의 액기스를 맛보게 해주기도 해다.

그 중 코로나는 수 년 전 코로나 팬데믹을 지나면서 이름을 변경하고 새로운 시작을 알렸다. 바로 카덴자 라인업의 출발이다. 카덴자라고 하면 클래시컬 음악에서 솔리스트가 일반적으로 특정 곡 말미에서 자신의 기량을 최고조로 보여주기 위해 기교적인 연주를 일컫는다. 다른 연주자는 연주를 거의 중지하다시피 하고 오직 솔리스트가 곡을 이끈다. MBL의 카덴자는 과연 어떤 기교를 보여줄 것인가? 그들이 카덴자라는 이름 아래 내놓은 제품은 C31이라는 CDP 겸 DAC에 C11 프리앰프와 C21 스테레오파워, C15 모노블럭 파워앰프 그리고 C51 인티앰프로 등이다.

mbl c41 16

네트워크 플레이어 C41

MBL은 카덴자 라인업에 화룡점정을 찍었다. 바로 C41이라는 모델이다. 최근 가장 뜨거운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는 제품군은 아무래도 네트워크 플레이어고 MBL도 드디어 전용 네트워크 플레이어를 카덴자 라인업에 편입시켜 전체 진용을 완성하고 있는 모습이다. 우선 외관 디자인은 고그럽스러운 카덴자 라인업의 패밀리 룩에 충실하다. 전체 섀시는 검은색에 전면 중앙 패널을 금장으로 장식하고 있는데 파리도 앉으면 미끄러질 듯 매끈하고 아름다운 느낌을 자아낸다. 전면엔 심플한 디스플레이 창과 함께 중앙에 노브가 마련되어 있으며 간단한 조작을 위한 버튼이 도열되어 있다. 더불어 알루미늄으로 만든 멋진 리모컨이 딸려온다.

mbl c41 6

후면으로 가면 이 제품은 정체성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단자들이 마련되어 있다. 우선 네트워크 플레이어답게 이더넷 LAN 입력단이 보이며 이 외에 광, 동축, AES/EBU 그리고 USB(B) 입력단을 마련해놓고 있다. 한편 디지털 출력은 동축 단자를 마련해놓았다. 대응 가능한 음원 해상도는 최대 PCM의 경우 최대 24/192, DSD는 DSD64까지만 지원한다. 한편 아날로그 출력의 경우 RCA는 물론 XLR 출력 각 한 조씩 지원하고 있는 모습이다.

mbl c41 17

내부 DAC 칩셋은 ESS Sabre 계열을 사용하고 있다. 흥미로운 건 내부 디지털 부문의 특별한 설계인데 MBL 측에선 CD의 표준 규격 중 16비트의 다이내믹레인지 한계, 즉 96dB로서는 충분한 다이내맥 헤드룸을 갖추고 있지 못해 클리핑이 생길 수 있다고 한다. 그래서 ‘True Peak’ 디지털 기술을 통해 3dB 정도를 추가로 확보해 음원 파일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과부하를 없앴다고 한다.

mbl c41 2

한편 C41의 운용 측면에 대해 살펴보면 일단 DLNA/UPnP에 대응한다. 아쉽게도 자체 리모트 앱은 아직 없어 범용 리모트 앱 또는 온라인 스트리밍 앱에서 직접 연결해 사용해야한다. 예를 들어 버블 UPnP 혹은 M 커넥트 같은 앱이다. M 커넥트를 작동시켜보니 아주 빠르게 C41이 잡혔다. 한편 ROON 레디 제품으로 ROON 사용자라면 쉽게 진입해 타이달, 코부즈 등의 서비스까지 일사천리로 접속, 음악을 감상할 수 있다. 더불어 에어플레이에 대응하고 있는 모습. 아마도 네트워크 플레이어의 플랫폼, 리모튼 앱 인터페이스 부문에선 앞으로 펌웨어 업데이트 등으로 향후 꾸준히 개선, 발전될 소지가 많을 듯하다.

mbl c41 12

청음

MBL C41 네트워크 플레이어는 내부에 꽤 잘 설계된 프리앰프가 설계되어 있다. 특히 자사 파워앰프를 사용하고 있다면 직결을 권장한다. 하지만 여타 브랜드의 전용 프리앰프를 운용 중이라면 프리앰프를 사용하면 그만이다. 이번 시청에선 C41의 네트워크 플레이어로서의 순순한 성능을 체크해보기 위해 필자의 시스템을 사용했다. 프리앰프는 클라세 델타, 파워앰프는 패스랩스 XA60.5 모노블럭 파워앰프, 스피커는 윌슨오디오 사샤를 활용했음을 밝힌다. 시청 장소는 방배동에 위치한 필자의 개인 시청실에서 진행했다.

casandra

선곡 및 재생은 ROON을 사용했다. ROON 코어는 웨이버사 Wcore를 사용했고 동시에 허브로서 사용해 랜 케이블을 Wcore에 연결해 C41을 작동시켰다. 처음 C41로 듣기 전에 MSB Analog DAC와 연결된 상태로 들어보다가 C41로 연결해 비교해보면 C41의 소리가 단박에 비교되어 들린다. C41은 전체적인 밸런스는 아래로 좀 더 내려와 있다. 예를 들어 HDtracks에서 배표한 컴필레이션 앨범 중 카산드라 윌슨의 ‘Another country’(24/96, flac)를 들어보면 젠틀하고 느긋하며 더블 베이스 같은 리듬 악기도 두텁고 힘차다. 그렇다고 중고역 해상도가 낮은 건 아니지만 저역의 권위감이 특히 돋보인다.

trijntje

기존에 MSB DAC로 들을 땐 전반적인 골격이 또렷하고 표면이 매우 단단하다. 배음 특성이 뛰어나고 온도감이 낮지 않아 음악적인 DAC로 생각했지만 C41로 들어보면 충분한 잔향이 더해지며 온도감이 더 높아진다. 소리의 두께가 더 두터워 되레 C41이 더 R2R 멀티비트 DAC 같은 느낌을 준다. 예를 들어 트레인티어 오스테르하위스의 ‘Human nature’(16/44.1, flac) 같은 곡을 들어보면 기타에 가해지는 힘이 더 크고 바디의 울림도 더 크게 느껴진다. 실제 악기의 크기를 연상시키면서 스케일 크게 재생한다. 그런데 음색 부분에선 차갑거나 매몰차지 않고 포근한 느낌을 주어 마치 소파에 몸을 파묻듯 음악 속에 파묻히는 느낌을 받게 된다.

sheffield

짐 켈트너의 드럼 연주는 이 제품에서 MBL이 주장하는 다이내믹 헤드룸 관련 이야기가 어떤 식으로 사운드에 영향을 주는지 조금은 알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어 제법 큰 볼륨에서 드럼 사운드를 유심히 살펴보자. 이런 드럼 사운드는 굉장히 큰 볼륨에서 자칫 음색이 뿌옇게 희석되거나 탈색되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세부 다이내믹이 깨져버리는 현상으로 결과적으로 사운드가 탁해지고 어택도 희미해지곤 한다. 하지만 C41로 듣는 드럼 연주는 헤드와 텐션 그리고 질감은 물론 하이햇 심벌의 마이크로 다이내믹스로 고해상도로 판독이 가능할 정도다. 충분한 다이내믹레인지 위에서 질감과 해상도 표현이 둥실 떠오른다.

zimerman rachmaninov piano concertos nos 1 2

무대는 상당히 크게 그리는 편이다. 세부적으로 치밀하고 분석적인 느낌을 주진 않지만 시야를 흐릿하게 만들거나 다이내믹을 뭉개지 않는, 줏대 있는 사운드로 핵이 뚜렷하다. 예를 들어 크리스티안 짐머만 지휘,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 연주로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1번(16/44.1, flac)을 들어보면 좌/우로 넓게 도열한 오케스트라의 형태가 눈앞에 그대로 떠오른다. 무게 중심이 낮아 엷거나 옅게 흩날리지 않고 다소 진중한 느낌으로 다가온다. 이건 마치 CD로 듣는 것 같은 짙은 색채감과 단단함이랄까? 내부에 장착했다는 ESS 칩셋의 느낌과 사뭇 대조적인 사운드로서 이들이 설계한 디지털 부문 설계가 더욱 궁금해진다.

mbl c41 20

총평

전 세계 음악 감상 인구의 80% 이상이 활용하는 음악 감상 패턴이 온라인 스트리밍 쪽으로 기울었다. 그리고 시디 플레이어를 만들던 메이커도 이미 네트워크 플레이어를 생산하고 있다. 하지만 기기의 형태가 바뀌면서 각 브랜드 고유의 음질적 개성이 다소 옅어진 것도 사실이고 필자는 이것이 매우 아쉽다. 하지만 이번 MBL의 C41을 들어보면서 계속해서 머리를 떠나지 않는 생각은 ‘영락없는 MBL 사운드’라는 것이다. 하드웨어 구조, 소프트웨어 플랫폼이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MBL C41은 마치 내가 6010D 같은 프리앰프를 처음 들었을 때의 그 사운드를 연상케 하기에 충분했다. MBL C41은 MBL 사운드의 찬란한 입구로서 활약이 기대된다. 특히 MBL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면 이 외의 대안은 찾기 힘들 수도 있을 것이다.

글 : 오디오 평론가 코난

제품 사양

Sampling rates : 44.1 kHz, 48 kHz, 88.2 kHz, 96 kHz, 176.2 kHz, 192 kHz, DSD64
Resolution : 24 bit
Inputs : 1 x S/P-DIF (RCA)
1 x Toslink (Snap-In)
1 x AES/EBU (XLR)
1 x USB Audio (USB type B)

Outputs : 1 x AES/EBU digital output (XLR)
1 x analog balanced output (XLR)
1 x analog unbalanced output (RCA)

Other Inputs/Outputs : Network (RJ45)
MBL SmartLink 1.0
SD-Slot for updates
Weight 15,5 kg / 34.2 Ibs

제조사 : MBL Akustikgeräte GmbH & Co. KG(독일)
공식 수입원 : ㈜ 샘에너지
공식 소비자가 : 19,600,000원

Written by 코난

코난 이장호는 하이파이 오디오를 평가하는 평론가다. <고음질 명반 가이드북 1,2> 등의 책을 썼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roon titan 1

룬 Nucleus Titan

kef lsxiilt 3

케프 LSX II LT